본문 바로가기

참여연대 이야기 마당

[기고] 문화 복지, 관광 그리고 경제

 

[기고] 문화 복지, 관광 그리고 경제

 


 우리가 삶의 질을 이야기할 때, 주거와 사회 복지에 집중하는 편에 비해 예술의 향유를 별로 언급하지 않는다. 멀티플렉스의 영화 관람이나 고급 공연장의 출입 등과는 별개로, 주변의 다양한 공간에서 쉽고 알차게 만나는 예술 작품과 공연이 얼마나 많은지 이상하리만큼 관심이 적다.



 오래 살아도 몸이 건강해야 제대로 된 인생이듯, 일과 노동에서 벗어나 최소한 휴일만큼은 문화와 예술을 적당하게 향유해야 인간다운 일상이다. 값비싼 입장권을 구입해야 접근하는 예술은 시장 중심의 제작 유통 과정에 따른 것이지, 실제 문화 가치와는 별개다. 여기서 우리가 관심을 갖아야 할 건 지갑의 두께나 도시의 크기, 교통의 불편함 등과 상관없이 담장이 낮은 예술을 만나는 방법이다.



 물론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예술작품의 향유 폭을 넓히는 정책을 펴고 있다. 찾아가는 예술 공연, 문화 후원 나눔 사업, 상설 거리 공연, 지역 축제 등은 대표 사례들이다. 이와 같은 ‘문화 공공재’의 확산이 최근 정권이 들어서고 위축되는 편이긴 한데,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문화 복지의 개념을 적극 도입하여 예술을 매개로 우리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자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 익산시는 문화 복지가 어떤 상태이고 어느 지경인지 자문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시는 전문가 집단인 문화재단을 통해 지자체의 문화예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시청 내 문화관광과의 고유 역할을 제외하고는 문화재단이 문화 공공재 전반을 담당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런데 관련 예술가 집단은 몰라도 보통 시민들이 체감하는 문화 복지의 내용은 한없이 부족하게만 느껴진다. 또한 예술의전당과 솜리문화예술회관 등 마저도 제대로 공공의 역할을 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 요컨대 우리 시의 문화 복지 상황은 아무리 좋게 평가하더라도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여기까지만 생각한다면 익산시의 관련 부서들을 나무라거나 다그칠 정도는 아니다. 우리나라 여느 지자체도 처지는 비슷하니깐. 그런데 문화재 유적과 관광지를 곁들여 바라보면 할 말은 꽤 많다. 유적지와 관광지를 문화 예술과 접목할 가능성을 적극 찾지 못 하는 건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단순 관람이나 방문을 유도하는 기존 관광 정책을 버리고, 공연과 전시회 등을 연계하여 지역 시민은 물론 외부 관광객도 유인하는 프로그램을 발굴하기가 그렇게 어려울까? 최소한 지역 주민들이 관광 명소를 찾아와 즐기기만 해도 절반은 성공한 것이지 않는가! 각자 담당 부서에서는 부족한 예산 타령만 하지 말고, 여러 관련 부서들이 연계하고 함께 해서 그 이상의 상승효과를 얻을 방안을 고민해 봐야 새롭게 성과를 내놓지 않을까?



 일련의 흐름을 이렇게만 진행한다면, 문화 복지의 공공 역할도 어느 정도 감당해내고, 관광 효과도 이전보다 훨씬 기대할 수 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는 덤으로 따라온다. 사안에 따른 개별 사고보다 통합해서 시야를 넓혀 바라본다면 의외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익산시 문화관광의 놀라운 변화를 기대하며, 지자체와 관련 전문가들의 분투를 바란다.

 


글 권오성 (문화평론가)

 

- 이 글은 익산참여연대 소식지 참여와자치 75호 기고글에 실린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