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원마당

지속가능한 먹거리 종합 전략 수립과 실현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

김영재 (전국 친환경농업인연합회 회장)


사람이 살기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먹거리이다.
태초의 인류는 채집과 수렵으로 먹거리를 해결했고, 농경 사회를 거치며 재배와 사육을 통해 차츰 먹을거리를 발전시켜왔다. 언젠가부터 잉여농축산물이 생겨나고 먹거리는 굶주린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부의 축적수단이 되어버렸다. 보다 많은 부(富)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대량 생산과 소비지 확대가 필요했고, 이를 위해서 모든 수단이 동원되기에 이른다.

많은 경작지 확보를 위해 광활한 밀림 등 자연 환경을 필요 이상 훼손했고, 생산량 증대에 필요한 종자(GMO 등)와 투입재(비료, 농약 등)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또한 대량 소비처는 통상협상을 통해 무역 장벽을 해소하고 원활한 교역을 가능케 함으로서 확대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은 대단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가 고통스럽게 겪고 있는 기후위기와 팬데믹 상황이 이와 무관하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20년 7월. 익산시 40여개 시민단체가 모여 익산먹거리연대 창립총회를 진행했다.


부(富)의 축적을 위한 먹거리의 세계화 시스템이 지배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먹거리 불평등의 심화, 지속가능성의 위협, 생태 환경의 파괴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먹거리 수입국가로 전락한 우리나라는 갈수록 식량자급률이 하락(19년기준 45.8%로 10년 전에 비해 10.4%P 하락)하고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세계 먹거리 체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를 위한 새로운 대안 모색이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도 생협운동, 로컬푸드 활성화, 친환경무상학교급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또한 보다 통합적인 시각에서 생산-가공-유통-소비-재활용의 선순환과 먹거리의 공공성 강화를 지향하는 지역 먹거리 체계 구축을 위한 고민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 동안 시민 사회와 일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 대안 먹거리체계 구축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국가 및 지역단위 먹거리종합전략 수립을 국정과제에 포함하였다. 이제는 국가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 우리 익산시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푸드플랜 아카데미 참여를 시작으로 연구용역이 마무리되고, 2021년 본격적이 사업추진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적 추이와 익산시의 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우리 익산시민들이 느끼는 푸드플랜은 아직도 생소하면서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게 현실인 것 같다.

우리가 추구하는 먹거리체계는 생산-가공-유통-소비-재활용(음식물폐기)의 지역 내 선순환 시스템 구축에 있다. 이 일은 행정의 의지뿐만 아니라 일부 생산자들의 이해를 넘어 시민 모두의 공감과 노력이 전제 될 때 실현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시민들을 상대로 지역 먹거리체계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시민과 함께하는 추진 전략으로서 익산시 먹거리 위원회 설립을 통한 민관 거버넌스 구축이 절실한 상황이다.

당장 2021년도부터 용역 결과에 따라 수십억의 예산이 투입 되고, 사업추진을 위한 푸드통합지원센터(재단법인) 설립 등이 추진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민이 정책의 대상을 넘어 주체로서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장하는 것이 익산시 푸드플랜의 시작임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시민사회도 먹거리 정책의 주체로서의 역량 강화와 조직화를 통해 익산시 푸드플랜의 실현을 위한 활동에 앞장서야 한다.

도농복합도시로서 생산과 소비가 조화를 이루고, 국가 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등 최적의 조건을 가진 우리 익산시는 먹거리 종합 전략 수립과 추진을 통해 지속가능한 먹거리 구현, 지역사회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